목록Arduino (8)
미누에요

아두이노 개발에 필요한 통합 개발환경인 아두이노 IDE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주로 사용하는 포털 사이트에 "아두이노"를 검색합니다. 저는 구글을 사용하였습니다. 제일 상단에 나온 Arduino 공식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23.12.07 기준) 아두이노 공식 사이트의 상단 탭에서 SOFTWARE을 클릭합니다. 소프트웨어 탭에 들어간다면, 바로 Downloads 창이 보일 것입니다. DOWNLOAD OPTIONS에서 본인 컴퓨터에 맞는 옵션을 선택해 다운로드합니다. 필자는 Apple Silicon MacOS를 사용 중이므로, 제일 아래의 다운로드 옵션을 선택하겠습니다. 그러고 나면 위와 같이 돈을 지불하는 거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이것은 소프트..

조도 센서는 빛의 세기에 따라 값이 변하는 센서이다. 저항 값이 빛의 세기에 따라 변하는데, 빛이 많이 들어오면 저항의 값이 작아지고, 적게 들어오면 저항이 커진다. 우리가 주로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조도 센서(Photoresister)는 황화카드뮴을 소자로 사용한 CDS센서이다. CDS 센서는 작고 값이 저렴해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조도 센서에는 전류가 흐르기 위한 두 개의 단자가 있는데, 저항과 동일하게 극성이 없다. 따라서 그라운드의 방향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조도센서 회로구성 여기서 사용되는 저항의 값은 10KΩ이다. 조도센서 소스코드 8번째 줄의 analogRead에서 A0핀에 연결된 조도센서의 값을 읽어서 Serial.println을 통해 시리얼 모니터에 출력한다. 실제로 실행해보면 ..
아두이노의 서보모터 각도를 90도와 180도로 각각 실행해 보았다. 0도, 90도 반복 0도와 90도 반복일 때 서보모터의 움직임 키보드 높이가 포스트잇 높이라서 포스트잇 위에서 체크했다. 0도, 180도 반복 0도와 180도 반복일 때 서보모터의 움직임 180도보다 90도가 더 얕게 움직여서 키보드를 누르는 정도의 각도만큼 돌아간다. 그래서 나는 90도를 서보모터 각도로 설정하기로 했다.

서보모터(Servo motor)는 각도와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모터이다. 서보모터의 단자별 역할은 아래와 같다. 빨간색 단자 - 전원(5V) 갈색 단자 - 그라운드(GND) 주황색 단자 - 제어 서보모터를 아두이노 IDE에서 제어하기 위해서는 Servo.h 헤더파일이 필요하다. 이렇게 선언해주고 원하는 방식으로 작성하면 된다. Servo myServo는 myServo라는 이름으로 서보모터를 사용하겠다는 이야기이다. 서보모터는 attach와 write만 알아도 기본적인 조작은 다 수행할 수 있다. myServo.attach(pin) pin에는 서보모터를 연결한 핀을 적어주면 된다. 보드와 연결된 서보모터를 세팅하는 과정이다. myServo.write(angle) angle에는 설정할 각도를 넣어주면 된다..

현재 맥북을 사용중인데, 구글 사이트에 dino game을 검색해 보아도 공식 사이트의 게임이 보이지 않아서 검색해 보다가 가장 깔끔해 보이는 Dinosaur Game 사이트를 찾았다. 이 사이트를 기준으로 아두이노 조도센서를 테스트 해야한다. https://offline-dino-game.firebaseapp.com/ Offline Dino Game The chrome offline game, on any browser, online or offline, at any time. how far can you run? offline-dino-game.firebaseapp.com 그리고, 오늘 두 번째 조도센서 수치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이전보다 조금 더 세분화해서, 선인장 장애물을 파악하는 구간을 세 구간..

우선, 아두이노에서 조도 센서를 사용하여 공룡 앞의 장애물을 인식하기로 했으니 조도 센서를 테스트해봐야한다. 일단 아누이노에 조도센서를 사용하여 간단한 키트를 제작하겠다. 위 내용을 참고하여 키트를 만들고 소스코드를 제작하였다. 실행 결과 기본 배경인 하얀색의 조도는 100~105가 나왔고, 장애물인 검은색의 조도는 50~60이 나왔다. 위 조도값의 결과는 m1 max 맥북의 최대밝기 기준이다. 값들이 측정할 때마다 변하는 걸 보니, 오차값을 계산하여 if문으로 일정 수 이상이면 점프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출처 - https://infoinno.info/30 [아두이노 기초] 조도센서 연결하기 목차 1) 조도센서 연결 과정 영상 2) 조도센서 연결하여 빛 인식후 시리얼에 출력하기 3) 주변이 어두워지면..

아두이노가 조금 늦게 도착했다. 예상보다 3~4일 정도 ?? 거기다가 알바에 다른 언어들 공부하다 보니 아두이노한테는 눈길이 잘 안가더라.. 아니 못가더라 가 맞겠다. 그리고 모처럼 여유로운 주말이 찾아와서 아두이노를 꺼냈다. 아직 플레이할 게임을 찾지 못한 상태였는데, 처음에는 조금 간단한 걸로 해야 재밌게 제작할 수 있을 거 같아서 dino 게임으로 골랐다.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를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데, 인터넷 연결이 안될 때 크롬 브라우저에서 플레이할 수 있는 일종의 이스터에그(?) 느낌의 게임이다. 아두이노로 이 게임을 어떻게 플레이할 것인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감지 - 흰 배경에 검은 장애물이라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면 될듯 플레이 화면의 공룡 앞에 적외선 센서를 부착할건데, 어느..

여행을 다녀오고 조금 무기력한 감이 없지않다. 감정에 휩쓸려다니는 게 익숙하긴 하지만 그래도 뭐라도 해야할 거 같아서 "취미"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1) 어릴 때부터 배웠던 기타, 일렉기타 같은 악기를 연습할까? 별로 끌리지 않는다 2) 코딩 공부를 하면 되는 거 아니냐! 하고 있다! 하면서 부업(?) 느낌으로 즐기면서 몰입할 무언가가 필요한 것 그렇게 생각을 하고 또 하다가 예전에 본 영상이 떠올랐다. 쇼츠나 릴스에서 본 사람이 있을수도 있다. (난 이런 거 꽤 많이 뜨는데.. 다른 사람들은 아닐수도 있겠구나...) 다른 영상은 유튜브에서 찾기 힘들어서 비슷한 종류를 찾아왔으니 이해바란다. 위처럼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 뭐라고 해야하나 ..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게임을 손대지 않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