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Git & Github (6)
미누에요

포크(Fork)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 "기여자(Contribute)"가 있는데, 이는 같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하지만 오픈소스 프로젝트와 같이 수많은 사람들이 작업에 일정부분 참여하는 프로젝트 같은 경우에는 그 많은 사람들을 다 기여자로 등록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포크(Fork) 이다. fork는 원본 계정의 Repository에서 우리의 원격 Repository로 포크로 찍어서 가져오듯이 코드들을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fork는 Github에서 많이 사용하는 Pull Request와 함께 자주 사용되는데, 우선 Pull Request부터 알아보자. PR(Pull Request) 일단 우리가 fork를 통해 원본 Reposito..

이 게시글은 인프런 강의 [직접 활용할 수 있는 Git과 Github - 기초부터 협업까지] 강의를 보고 개인공부 목적으로 기록한 게시글입니다. 브랜치 (branch) 브랜치는 Git에서 굉장히 중요한 개념이다. 브랜치는 '가지'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위 그림을 보면 나뭇가지처럼 뻗어나가는 모습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개발을 할 때, 본래의 서비스가 실행되고 있는 코드를 함부로 변경하면 안된다. 그럴 때, 개발자들은 Git의 branch를 사용하여 본래의 코드를 복제하여 새로운 가지를 만든다. 이렇게 만든 Branch는 본래의 코드인 Main(혹은 master)에 아무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해당 기능을 만들고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기능을 추가할 때, master 브랜치와 병합하는 방식으로 ..

github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로그인을 한다. 이런 화면이 뜰텐데, 여기서 왼쪽 탭의 Top Repositories 오른쪽에 초록색 New 버튼을 클릭한다. 여기서 Repository 이름을 설정하고, Create repository를 클릭한다. 그럼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github 상의 repository를 생성한 것이다. 그럼 이제 우리 컴퓨터에 있는 로컬 repository와 연결해야 할 것이다. 위의 설명란을 보면 git remote ... 와 같은 명령어를 사용해서 하라고 되어있다. 저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하지만 나는 sourcetree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리모트를 해보겠다. sourcetree에 들어간다. 오른쪽 상단의 원격을 클릭한다. 그럼 이렇게 생긴 창이 뜨는데, 여기서 추가를..

sourcetree를 사용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다. git 명령어들도 같이 첨부하겠다. 우선 , vscode를 실행하여 작업을 실행할 파일을 만든다. 그런 다음, sourcetree를 실행한다. sourcetree를 실행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상단 탭의 Create를 선택한다. 여기서 "탐색"을 눌러 우리가 작업할 파일의 경로를 찾아준다. 그리고 "생성"을 눌러 레파지토리를 생성한다. 위처럼 뜬다면 그냥 예를 누르면 된다. 레파지토리 생성이 완료되었다면 위처럼 작업 공간이 형성될 것이다. 여기까지의 과정(sourcetree에서 파일 경로를 연결하여 작업공간을 형성한 것)이 Git 명령어로는 git init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제 파일을 하나 만들어서 내용을 저장해 보겠다. vsc..

이 게시물은 인프런 강의 [MJ코딩 - 직접 활용할 수 있는 Git & Github_기초부터 협업까지] 를 보고 개인적으로 정리한 게시물 입니다. Git 설치 우선, Git을 설치하기 위해 아래 사이트로 접속한다. https://git-scm.com/ Git git-scm.com 위처럼 화면이 나타날텐데, 오른쪽의 모니터 그림에 있는 Download for Windows를 클릭한다. 제일 상단의 Click here for download the lastest (2.43.0) 64-bit ... 부분을 클릭하여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2024.01.13 기준으로 2.43.0 버전이 최신이다. 각자의 컴퓨터에 따라 64-bit가 아니라 32-bit라고 뜰 수도 있다.)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 실행한다면 위..

Git이 개발자들에게 필수적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도대체 Git이 어떤 것이고, 왜 중요하다는 걸까 ? 우선, 버전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겠다. 버전관리시스템이란 ? 문서나 설계도, 소스 코드 등의 변경점을 관리해주는 소프트웨어. 버전관리 시스템의 종류 로컬 VCS (Local VCS) 장점 서버없이 로컬 컴퓨터에서 버전을 관리한다. 간단한 데이터베이스만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므로 단순하고 개인적인 프로젝트에 적합하다. 단점 협업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컴퓨터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복구할 방법이 없다. 대표적으로 RCS, SCCS가 있다. 중앙집중식 VCS (Center VCS) 장점 서버에 최종본 한 벌이 있으며, 사용자들은 이 중 수정을 원하는 파일만 로컬에 받아 수정한 후 서버에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