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5 (5)
미누에요

어쩌다보니 올해도 논문을 투고하게 되었다.논문이라기보다는, 대학생 논문 경진대회라 보통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대단한 일이 아닐테지만, 그래도 또하나의 경험을 쌓았다. 매년 "한국정보기술학회"에서는 하계, 추계 두 번의 대학생 논문 경진대회를 개최한다.그 중 오는 6월에 예정되어 있는 하계 대학생논문경진대회에 교수님의 부탁으로(?) 투고를 하였다. 음.. 매번 생각하는 거지만 연구자의 길은 나랑 맞지 않는 거 같다. (실질적 기술 개발보다 글을 작성하는 데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는 거 같다.)하지만 뭐 문서화하는 능력도 유지보수 관점에서는 중요한 스킬이니까, 이번에도 덥석 도전했다. 저번 추계 대학생논문경진대회에서도 생각했지만, 내가 개발하고 있던 웹/앱이 있었더라면, 혹은 뭔가 만들어보던 프..

ChatGPT 등과 같은 AI 툴이 널리 사용되면서 LLM에 대해 정말 많은 언급이 이루어지고 있고, 여러 AI 기술 중 LLM에 대해서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나도 그 중 하나이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연구실에서 간단하게 해본 LLM 파인튜닝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보고자 한다.(참고로, 나는 AI에 대한 깊은 지식이 있지 않기에, 내용을 100% 신뢰하지는 말기 바란다.) LLM(Large Language Model)LLM, 그놈의 LLM 도대체 LLM이란 무엇일까 ? 영어로 된 약자를 풀어서 보면 단순하게 이해할 수 있다. Large Language Model, 즉 겁나 큰 언어모델이라는 뜻이다.수많은 양의 언어 데이터가 모델에 학습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수많은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bi..

현재 개인적으로 공부 차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이 프로젝트 중 Button 컴포넌트를 제작하고 있었다. 현재 TypeScript + module.scss를 사용하고 있는데, tsx 파일에서 특정 색상값을 변수 형식으로 넘겨주고, scss 파일에서 해당 값을 사용하고 싶었다.즉, tsx에서 변수를 넘겨받아 scss에서 사용하고 싶었던 것이다. const ImageCircle = styled.div` --size: ${props => props.size}px; width: var(--size); height: var(--size); border-radius: var(--size); background-image: url(${props => props.src}); backg..

개발을 하다보면 REST API라는 용어를 많이 보게 된다.나도 이때까지 무슨 API인지 제대로 모르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정리해보고자 한다. REST가 뭔가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고, 해당 자원을 주고받는 것을 의미한다.여기서 자원은 그림, 이미지, 텍스트 등을 의미하고, 그 자원의 이름으로 해당 자원을 표현하게 된다.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아키텍처의 한 형식기본적으로 웹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음모든 자원에 고유한 URI 가 등록됨 REST 의 구성 요소자원(Resources) : 각 자원들은 고유한 HTTP URI를 가지고 있으며, 해..

최근에 LLM을 파인튜닝해보고 있다.그 중 이번에 사용한 Unsloth에 대해서 기록해보고자 한다. Unsloth Unsloth는 파인튜닝을 위한 Python 라이브러리이다.파인튜닝을 할 때, 기존 LLM을 불러와 특정 추가적인 데이터셋으로 학습을 시키게 되는데, 기존 모델의 크기가 보통 굉장히 크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학습을 시킬 때 컴퓨터 자원을 많이 필요로 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다 가볍고, 최적화한 도구인 Unsloth를 사용하는 것이다. 파인튜닝이 뭔데 ?파인튜닝이란 기존 모델에 새로운 데이터들을 추가적으로 학습하여 특정 분야에 답변을 더 잘하도록 만드는 방식이다.Unsloth 공식 웹페이지에서는 "도메인 지식을 향상시켜 특정 작업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 역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