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avaScript (33)
미누에요

if if(조건) { /* 조건이 참일 때 실행할 코드 */ } Javascript에서 조건문의 형식은 위와 같다. if 내부에 조건을 넣고, 이 조건이 참(ture)일 경우에 내부의 코드들이 실행되는 방식이다. 예시를 보자. let a = 5; if(a===5){ console.log('조건이 참이므로 실행됨.'); } 위 코드는 a가 5이므로 if문의 조건문이 참이다. 따라서 if문 내부의 문장이 실행될 것이다. 필요한 조건이 여러 개라면 if문을 여러 개 붙이면 된다. 하지만 조건문이 연결된 조건이라면, else if를 사용하여 부가조건들을 넣어줄 수 있다. else if if(조건) { /* 코드 */ } else if(조건){ /* 코드 */ } 위처럼 코드를 작성하면, if문의 조건이 참이 아..

Javascript의 여러 연산자들 중 "=" 와 관련된 연산자들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아래 코드를 보자. let a; a = 5; console.log(a); 첫번째 줄에서 a라는 변수를 선언하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 줄에서 a = 5라는 코드로 a 변수의 값을 지정해주고 있는데, 이 부분이 바로 "대입연산자"를 활용한 부분이다. Javascript에서는 이처럼 "="을 사용하는 연산자가 보통의 프로그래밍 언어보다 대입 연산자(Assignment Operator) "=" 을 기준으로 왼쪽의 변수에 오른쪽 값을 대입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a = 5 위처럼 "=" 하나로 식을 나타내며, 위 식은 a 라는 변수에 5라는 값을 저장한다는 뜻이다. 동등 연산자(Equal Operator) "==" 을 기..

JavaScript는 웹개발에 있어서 HTML, CSS와 함께 언급되는 기본적인 개발 언어이다. HTML과 CSS는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마크업 언어에 해당하지만, Javascript는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의 Web을 더 풍성하게 해줄 JavaScript의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Javascript에서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과 같이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으로 나뉘어지지 않는다. 오로지 var, let, const의 세 가지로만 정의할 수 있다. var은 Javascript에서 오랫동안 있었던 변수형이며, ES5를 사용했던 2015년까지는 유일한 변수형이었다. 하지만 이후에 ES6와 함께 let, const라는 변수형들이 나오게 되었고, var의 고질적인 문제들을 보완할 수 있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