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avaScript (33)
미누에요

이 게시물은 인프런 강의 [생활코딩 -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기초] 강의를 듣고 개인적으로 기록한 게시물입니다. arguments 함수에 전달된 인자들을 담고있는 객체이다. 아래 코드를 보자. function sum() { let i, _sum = 0; for (i = 0; i < arguments.length; i++) { console.log(i + ' : ' + arguments[i] + "\n"); _sum += arguments[i]; } return _sum; } console.log('result : ' + sum(7, 8, 9, 10)); 위 코드에서 sum은 매개변수가 없다. 하지만 제일 아래의 코드에는 sum(7,8,9,10) 과 같은 방식으로 인자를 전달해주고 있다. 이런..

JavaScript에서 함수는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 말은 즉, 함수가 매개변수와 인자의 값으로도 전달될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 아래 코드를 통해 자세히 들여다보자. function sayDate(month, day, callback) { let wo = '오늘은 ' + month + '월 ' + day + '일 입니다.'; callback(wo); } sayDate('1', '17', function (month, day) { console.log(month, day); }) 위 코드의 sayDate 함수는 wo라는 변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함수의 내부에서 wo 변수를 가지고 callback 함수를 실행시킨다. 마지막 줄에서 sayDate를 실행시키는데, 첫번째 두번째 인자는 각각 month와..

이 게시물은 인프런 강의 [생활코딩 -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기초] 강의를 보고 개인적으로 기록한 게시물입니다. 값으로서의 함수 JavaScript 코드들을 보면 아래와 같이 함수가 변수에 대입되는 경우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let a = function(){} 변수에 담을 수 있는 것은 값일텐데, 함수가 어떻게 들어간걸까 ? 그 이유는, JavaScript에서는 함수가 값으로도 사용되기 때문이다. 즉 함수도 객체라는 말이다. 위처럼 변수뿐만 아니라, 객체의 값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a = { k: function () { // k : 속성(property) , funtion(){} : 메소드(method) } }; 위 코드는 객체의 key 값으로 k를 주었고, 그에 해당하는 value..

유효 범위(Scope) JavaScript에서 유효범위란 말 그대로 해당 변수가 유효한 범위를 의미한다. 전역 변수(Global Scope)와 지역 변수(Local Scope)의 유효범위(Scope) Javascript에서 전역변수는 가장 바깥쪽, 즉 어떤 함수나 객체에도 속해있지 않은 바깥쪽에서 선언된 변수를 뜻한다. 전역변수의 예 let global = 2; // 전역변수!! for (let i = 0; i < 10; i++) { let local = 5; console.log(i * 5); } 위 코드에서는 global이 전역변수이다. 그에 비해 for문 안에 속한 local은 지역변수라고 할 수 있다. 지역변수는 함수, 객체 등에 속해있어서 그 객체의 범위만큼만 데이터가 유효하다. 지역변수의 예 ..

클로저(Closure) Javascript에서 클로저(Closure)는 함수의 내부 범위에서 함수 외부 범위의 변수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형태이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함수가 있다고 하자. let num = 5; function minustwo() { num -= 2; } minustwo(); console.log(num); minustwo라는 함수는 2만큼의 값을 빼는 함수이다. 결과 5에서 2를 뺀 3이 정상적으로 나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위 코드에서는 num이라는 값에 다른 코드들로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다. num이라는 변수가 현재 전역변수이기 때문이다. let num = 5; function minustwo() { num -= 2; } num = 500; minustwo(); c..

이 게시물은 인프런 강의 [생활코딩 -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기본] 강의를 바탕으로 개인적 기록 목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지역변수의 유효범위 function func() { var a = 10; console.log(a); } func(); console.log(a); 함수 내에서 변수 a 를 선언하였고, 함수에서 바로 a 값을 사용하고 있다. 함수 밖에서는 a값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변수이므로 마지막의 출력문은 실행되지 않는다. 결과 첫번째 출력만 출력되고 두번째는 에러가 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지역 변수의 유효범위는 그 변수가 속한 함수, 혹은 객체의 범위 안이다. 전역변수의 유효범위 var a = 30; // 함수 밖에서 변수 선언 function func() { cons..

배열이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지원하는 자료형 중 하나로, 번호가 붙은 첨자(index)로 여러 개의 자료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배열 let 배열이름 = ['데이터1','데이터2',...'데이터N']; // let은 var 혹은 const로 필요에 따라 변경가능 JavaScript에서 배열은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형식을 가진다. 처음에 배열의 자료형을 선택한다. ( let, var, const와 같은 값이 올 것이다.) 그 다음에는 배열의 용도에 맞게 이름을 정해주고, 대괄호로 감싼다. 배열의 각 값들은 대괄호 안에 나열한다. 배열 내의 각 데이터들은 순서대로 인덱스 0번, 1번, ... , 과 같은 방식으로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번째에 저장된 '데이터2' 라는 값을 콘솔에 출력한다면 ..

수학에서 함수는 수학에서 두 집합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논리적 개념으로, 정의역의 원소마다 공역의 원소가 하나씩 대입되는 관계를 의미한다. (출처 - 나무위키 함수 https://namu.wiki/w/%ED%95%A8%EC%88%98) 함수 - 나무위키 그 정의는 다음과 같다. 집합 X,YX,YX,Y에 대한 함수 fff[1]는 다음을 만족하는 대응 관계로 정의된다.임의의 원소 x∈Xx\in Xx∈X에 대해, 그에 대응하는 원소 y∈Yy \in Yy∈Y가 유일하게 존재한다.[2][3] namu.wiki 프로그래밍에서 함수는 수학적 함수와 목적은 비슷하지만, 쉽게 말해 하나의 기능을 하는 묶음이다. 위에서 보이는 함수는 입력된 값에 4를 더하는 기능을 하는 함수이다. JavaScript에서의 함수 사용 J..

"환영합니다!" 라는 내용을 반복하여 10번 출력하는 문장을 JavaScript로 구현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 console.log('환영합니다! '); console.log('환영합니다! '); console.log('환영합니다! '); console.log('환영합니다! '); console.log('환영합니다! '); console.log('환영합니다! '); console.log('환영합니다! '); console.log('환영합니다! '); console.log('환영합니다! '); console.log('환영합니다! '); 아마 console을 이용하여 출력할 경우에는 위와 같이 작성하면 될 것이다. 하지만 위처럼 10번 반복이 아니라 100번, 1000번 등 무수히 많은 양을 반복해야 한다..
컴퓨터공학에서 많이 나오는 연산자들 중 논리연산자는 기본적으로 AND, OR 연산자가 있다. 다른 연산자들도 많지만, 이 두 연산자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는 것이기에 이 두가지가 JavaScript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설명하겠다. AND 연산자 ( &&, 곱연산 ) if(조건1 && 조건2){ /* 코드 */ } Javascript에서 AND 연산자는 && 로 표현한다. 위 코드의 의미는 조건 1과 조건 2가 둘 다 참일때만 if문이 실행된다는 의미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아래 표와 같다. 조건1 조건2 AND 연산 결과 참(true) 참(true) 참(true) 참(true) 거짓(false) 거짓(false) 거짓(false) 거짓(false) 거짓(false) 컴퓨터가 0을 거짓(false), 0..